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전립선암

진행단계

전립선이라고 진단하고 나면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하고 예후를 내다보기 위해 암이 얼마큼이나 진행되었는지를 종합적으로 표시하는 병기를 확정하게 됩니다.
전립선암은 병기와 관련해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합니다. 암세포가 전립선 내에 국한된 ‘국소 전립선암’(아래 표의 1기와 2기), 림프절이나 다른 부위로의 전이는 없으나 암이 전립선을 벗어난 경우인 ‘국소적으로 진행된 전립선암’(3기), 그리고 주위 장기나 림프절, 뼈‧폐 등 다른 장기로 암세포가 퍼진 ‘전이 전립선암’(4기)이 그것입니다. 어느 단계에 속하든 환자의 연령, 신체 상태, 종양분화도 등을 두루 고려하여 적절한 치료 방법을 정합니다.



전립선암의 MRI 소견 - 방광, 전립선

[ 전립선암의 MRI 소견 ]

다발성 전이가 있는 전립선암의 골스캔 소견

[ 다발성 전이가 있는 전립선암의 골스캔 소견 ]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전립선암 병기 분류법은 다른 암들에서도 두루 쓰이는 TNM 방식입니다. TNM 분류법에서 T(tumor) 병기는 종양의 크기와 침윤 정도를, N(node) 병기는 주위 림프절 전이 정도를, M(metastasis) 병기는 다른 장기로의 원격전이 여부를 나타내며, 이 세 가지를 조합하여 병의 진행 단계를 판정합니다. 이 밖에 주잇(Jewett) 병기분류법이라는 것도 사용하는데, 여기서는 병기를 ABCD로 나눕니다. A와 B는 앞 문단의 세 가지 구분 중 첫째에 속하고, C는 둘째에, D는 셋째에 속합니다. 이 분류법은 위트모어-주잇 병기 분류법(Whitmore-Jewett staging system)이라고도 합니다.

[ 전립선암의 TNM 병기분류법 (version 2, 2014 & 2015 전립선암 진료지침 version 2) ]

TNM 병기

원발종양

(clinical T)

TX

원발종양의 판별이 불가능함

T0

원발종양의 존재가 확인이 안 됨

T1

촉지되지 않고 영상 검사에서 보이지 않는 임상적 불현성 종양

T1a

절제된 조직의 5% 이하로 조직학적으로 우연히 발견된 종양

T1b

절제된 조직의 5% 초과로 조직학적으로 우연히 발견된 종양

T1c

(PSA상승을 이유로 시행한) 세침조직검사로 진단된 종양

T2

촉지되거나 영상검사에서 확인된 전립선 내에 국한된 종양

T2a

한 쪽 전립선엽의 1/2 이하를 차지하는 종양

T2b

한 쪽 전립선엽의 1/2을 초과하여 차지하는 종양

T2c

양 쪽 전립선엽을 차지하는 종양

T3

전립선 피막 밖으로 침윤한 종양

T3a

한쪽 혹은 양쪽 전립선 피막 밖으로 침윤한 종양

T3b

정낭을 침윤한 종양

T4

정낭이외의 주변 조직인 방광, 골반올림근, 혹은 골반벽을 침범한 종양


[전립선암병기-T병기]

림프절(N)

NX

주변 림프절 침범여부를 판별 불능

N0

주변 림프절 전이가 없음

N1

주변 림프절 전이가 있음


[전립선암병기-N병기]

원격전이(M)

M0

원격전이가 없음

M1

원격전이가 있음

M1a

주변 림프절을 벗어나 원격 림프절 전이가 있음

M1b

골(뼈) 전이가 있음

M1c

뼈 이외에 다른 장기에 전이가 있음



[전립선암병기-M병기]


등급 군(grade group)

글리슨점수(gleason score)

글리슨점수 패턴

1

≤6

≤3 + 3

2

7

3 + 4

3

7

4 + 3

4

8

4+4, 3+5, 5+3

5

9 or 10

4 + 5,  5 + 4,  5 + 5




[ 전립선암의 해부학적 병기/예후 그룹 ]

병기

원발종양(T)

림프절(N)

원격전이(M)

전립선특이항원(PSA, ng/mL)

등급 군

(grade group)

T1a~c, T2a

N0

M0

<10

1

T1-2a

N0

M0

any

any

ⅡA

cT1a~c,

N0

M0

20

2,3

cT1a~c

N0

M0

10≤PSA< 20

1

 

T2a~b

N0

M0

20

2

 

T2b

N0

M0

Any

Any

ⅡB

T1~T2

N0

M0

≥20

Any

 

T1~T2

N0

M0

≥20

Any

 

T1~T2

N0

M0

Any

4

 

T2c

N0

M0

Any

Any

T3a-b

N0

M0

Any

Any

Any T

N1

M0

Any

Any

 

Any T

any N

M1

Any

Any

 

T4

N0

M0

Any

Any


 

최종수정일 : 2021년 03월 23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