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악성 중피종

흉막종양의 발생부위

흉막의 위치

흉막은 흉곽 안의 폐와 종격동, 횡격막, 흉곽 부위의 흉강 내를 덮고 있는 장막으로, 늑막이라고도 합니다. 흉막은 장측 흉막과 벽측 흉막으로 나뉘는데, 장측 흉막은 폐실질을 덮고 있으며, 벽측 흉막은 종격동, 횡격막, 흉곽 내부로 둘러싸인 흉강의 안쪽을 덮고 있습니다.

흉막의 구조

이 두 막은 주기관지와 폐의 연결 부위인 폐문(hilum) 부위에서 이어지게 되며, 이 두 흉막 사이의 공간을 흉막강이라고 합니다. 정상인에서 흉막강은 실제로는 거의 공간이 없으며 아주 소량의 액체(흉수)가 윤활막과 같은 얇은 막을 형성하고 있어, 폐의 호흡 운동 중에 폐를 싸고 있는 장측 흉막이 흉강을 싸고 있는 벽측 흉막을 따라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흉막과 주변 구조의 해부학적 그림]

흉막의 기능

벽측 흉막은 단층의 중피세포로 덮인 성기고 불규칙한 결체조직으로 구성되며, 장측 흉막은 중피세포층과 결체조직층, 두 층으로 구성되어 벽측 흉막보다 더 두껍습니다. 흉막의 중피세포는 여러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로 흉막을 통한 액체나 각종 입자의 운반과 이동, 면역세포인 백혈구의 이동, 염증 관련 물질의 생성, 섬유소(fibrin)의 생성과 제거 등에 연관되어 있습니다.

전체 흉막 중에 흉곽과 횡격막 부위의 벽측 흉막에만 감각 신경이 존재합니다. 흉곽 그리고 횡격막의 주변부는 늑골 사이 신경(intercostal nerve)이 존재하며, 이 신경이 자극되면 그 주의의 흉벽에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이에 반해 횡격막의 중심부는 횡격막 신경이 존재하며, 이 부위가 자극되면 같은 쪽 어깨에 통증을 느끼게 되는데 이를 연관통(referred pain)이라고 합니다. 장측 흉막에는 감각 신경이 없어 통증을 느끼지 못하므로, 흉막에서 발생하는 흉통은 모두 벽측 흉막의 염증이나 자극에 의한 것입니다.

최종수정일 : 2024년 01월 22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