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이암사망률
| 작성자 | 임재효 | 작성일 | 2025.11.11 |
|---|---|---|---|
| 구분 | 암 | ||
전이암사망률을 검색하면 암환자의 90%가 전이암으로 사망한다고 나옵니다. 이게 맞는 건가요?
전이암에 대한 사망률 자료가 있나요?
암등록통계자료는 발생률, 생존율, 유병률을, 통계청에서 사망률을 산출합니다. 사망률을 산출할 때에는 사망진단서에 기록된 사망을 유발했거나 사망에 영향을 미친 모든 질병, 병태, 손상 등을 의미합니다. 즉 사망에 이르게 한 질병이 악성신생물(암)일 때는 전이암, 조기암 등으로 분류하지 않고 질병명으로만 분류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이암 사망률에 대한 일부 연구자료는 있을 수 있으나, 국가통계자료는 없습니다.
물론 원발 부위를 벗어난 진행된 암은 생존율이 낮습니다. 5년상대생존율이란 해당기간 중 발생한 암환자가 5년 이상 생존할 확률을 추정한 것으로, 암 이외의 원인으로 사망했을 때의 효과를 보정하기 위해 관찰생존율을 일반인구의 기대생존율로 나누어 구한 값입니다. 2024년 중앙암등록본부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8~2022년 발생한 전체 암환자의 5년상대생존율은 72.9%입니다. 요약병기별로 구분하면 국한병기는 92.1%, 국소진행은 75.1%, 원격전이는 27.1%였습니다.
*국한병기: 암이 발생한 장기를 벗어나지 않음
*국소진행: 암이 발생한 장기 외 주위 장기, 인접조직 또는 림프절을 침범함
*원격전이: 암이 발생한 장기에서 멀리 떨어진 다른 부위에 전이함
요약병기별 생존율: http://cancer.go.kr/lay1/S1T648C652/contents.do
| 이전글 | 타목시펜, 졸라덱스 항암화학요법 포함여부 |
|---|---|
| 다음글 | 암에 관하여 |
(0 / 300) ※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등록 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