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에 관하여
| 작성자 | 양시후 | 작성일 | 2025.11.04 |
|---|---|---|---|
| 구분 | 암 | ||
암이 발생할 때 보통은 세포분열이 과도화되어 유전자 손상으로 인한 것으로 알고, 우리 몸의 세포가 암으로 변할 수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현재 담배, 알코올, 방사선, 석면, 바이러스, 자외선 등의 여러 발암 물질이 있고, 현재 암의 발생 이유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유전자 손상이 아닌 다른 이유로도 암이 발생하기도 하나요?
그리고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은 원래는 같은데 우리 몸에 침투하는 정도에 따라 구분을 짓는 것인가요?
헤이플릭 한계 도달 이전에도 유전자 손상으로 암세포가 되기도 하나요?
무조건 유전자 손상이 일어나면 암세포가 되나요?
아니면 발암유전자의 발현으로만 암세포가 되나요?
뇌세포는 세포분열을 잘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뇌에서는 암세포가 생기기도 하나요?
암세포는 대식세포나 TCR-T세포와 같은 것들이 먹나요?
암치료 법의 획일화된 치료법은 없나요?
암세포가 먼저인가요? 아니면 무한한 세포 분열이 먼저인가요?
암이 발생할 때 나오는 특정한 물질이 있나요?(사이토카인이라든가요)
만약 암이 유전적 손상에 의한 것이라면 모든 암은 다른 유전적 성질을 지니고, 대식세포와 T세포처럼 다른 세포인데, 우리는 흔히 그것들을 암세포라고 부르는 것인가요?
암의 발현 부위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다른 것으로 알고 있는데, 유전자의 손상으로 암의 종류가 다르다면 같은 기관에서의 암이어도 다른 암으로 치료법도 달라야 하는 것 아닌가요?
암은 유전자 손상으로 발생하나요?
세포는 성장(Growth), 분화(Differentiation), 프로그램된 죽음(Apoptosis)의 과정을 밟거나 성장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러한 과정은 엄격하게 조절을 받습니다. 그러나 암세포는 어떠한 이유로 세포의 유전자가 손상되어 이들 유전자의 산물인 단백질의 특성을 바꾸고, 그 결과로 세포의 성장 조절에 이상이 발생하여 종양이 됩니다. 다시 말해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정상세포에 암이 생기는 것입니다. 이 점에서 모든 암은 유전성 암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말하는 유전성 질병이란 부모로부터 물려받는 것을 가리킵니다. 암은 정상세포의 유전자 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종양(tumor)은 우리 몸속에서 비정상적으로 자라난 새로운 덩어리(신생물)를 말합니다. 이러한 종양 중 비교적 서서히 자라고 다른 부위로 확산‧전이하지 않으며, 제거하면 치유할 수 있는 종양은 양성종양(benign tumor)이라고 합니다. 이와 달리 빠른 성장과 주위조직을 침윤하거나 원래 장소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까지 이동하여 생명에 위협을 초래하는 종양은 악성종양(malignant tumor)이라고 합니다.
우리의 정상적인 면역기능은 신체에서 생성된 종양세포를 파괴할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소한 10억 개 이상의 종양세포가 존재하면 면역기능에 의해 파괴할 수준을 훨씬 넘어버립니다. 따라서 암세포를 제거하지 못하고 암세포는 계속 증식하게 됩니다.
많은 연구를 통해 암이 발생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특정 유전자나 단백질, 신호전달물질을 찾아냈으며, 암세포가 우리의 면역기능을 회피하게 만드는 물질도 발견하였습니다. 그래서 최근의 암치료는 이러한 물질을 억제함으로써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거나 면역기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하여 암세포를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진단 초기부터 유전자검사(NGS 등)를 통해 암세포에 발현한 유전자와 단백질 등을 검사하여 치료를 선택하기 때문에 같은 암이라도 다른 치료를 시행합니다.
참고: (표적치료제) http://cancer.go.kr/lay1/S1T289C847/contents.do
(면역관문억제제) http://cancer.go.kr/lay1/S1T289C848/contents.do
[질문의 내용을 결합하여 답변을 드립니다]
| 이전글 | 전이암사망률 |
|---|---|
| 다음글 | 뇌하수체 신경내분비종양 진단코드 |
(0 / 300) ※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등록 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