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SIL(cin)의 해석
작성자 | 박근정 | 작성일 | 2025.04.09 |
---|---|---|---|
구분 | 암 |
미국병리학회(CAP), 미국자궁경부병리학회(ASCCP)가 공동 추진한 LAST project (Lower Anogenital Squamous Terminalogy)에서는 cin2의 진단일치율이 낮아 임상진료 현장에 혼선을 주므로 cin 분류체계를 SIL 분류체계로 표준화하는 프로젝트로 알고있습니다.
여기서는 주진단을 HSIL ,LSIL로 이원화 하되 임상의사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기존 cin 분류를 괄호 안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HSIL(cin2)의 경우 앞 진단이 병리진단의 의도를 더 잘 나타내는 주진단이고, 괄호 속 내용은 그저 임상의가 진료방침을 정하는데에 도움을 주는 보조지표라고 할 수 있을 것인데,
KCD 1권 및 3권에서 cin2는 N87코드 해당하고 HSIL은 M8077/2로 D06코드 해당합니다.
cin2는 cin1과 cin3의 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병변으로 알고있습니다. p16 바이오마커 양성인 경우 HSIL로 분류되고 음성인 경우에는 LSIL로 분류되는데, 그렇다면 HSIL(cin2)는 p16 양성을 의미하는 바 cin3의 특성에 더 가까운 이형성증이라는 것을 시사하는지요?
위 내용을 기초로 한다면 HSIL(cin2)는 앞쪽의 베데스다 분류를 병리적 주진단으로 보는 것이 의학적으로 타당한 것인지? 알고싶습니다.
별첨) 산부인과 최신정보지 움스토리, KCD 3권
HSIL(CIN) 진단이 타당한지 궁금합니다.
자궁경부 표면의 정상상피세포에서 시작하여 미세한 현미경학적인 변화가 발생하는 자궁경부 상피내이형성증(CIN,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을 거쳐, 상피 내에만 암세포가 존재하는 자궁경부상피내암(CIS, cervical intraepithelial in situ)으로 진행하고, 이 단계에서 발견하지 못하여 치료하지 못하면 다시 침윤성 자궁경부암(cervical carcinoma)으로 진행합니다.
자궁경부 세포의 모양과 형태에 따라 병리학의사가 진단합니다. 고등급 편평상피내 병변(HSIL)일 경우, CIN2라면 질병코드는 N87.1로 부여하고, CIN3라면 질병코드는 D06으로 부여합니다. 자궁경부 세포의 모양과 형태를 통해 HSIL(CIN2)로 진단할 지, HSIL(CIN3)로 진단할 지는 의사의 고유한 권합니다. 이에 대해 타당한지에 대한 검증은 저희의 검증 범위가 아닙니다. 검사결과에 대해서는 의사와 상의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전글 | 가다실 기간문의 |
---|---|
다음글 | 뇌하수체 종양 관련하여 질병코딩 문의드립니다 |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등록 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