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형유관증식증이 경계성 종양에 포함되나요?
작성자 | 권혜정 | 작성일 | 2025.02.01 |
---|---|---|---|
구분 | 암 |
유방에 혹이 있어 맘모톰을하고 검사를 했는데 조직검사 결과 atypical ductal hyperplasia라고 하며 "ADH"를 지지하는 특징이 나타난다고 나왔는데 그럼 비정형유관증식증이 경계성종양에 포함 되나요?
구글에서 검색하면 '비정형 유관증식증은 경계성 종양에 해당합니다.'라고 나오고 다른분들은 질병코드를 D48로 받으셨다고 하시고 제가 검사한 유방외과에서는 경계성 종양이 암을 나타내는 것이고 저는 암 전단계이기 때문에 경계성 종양이 아니라고 합니다.
경계성종양을 검색하면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암)의 특성을 모두 지닌 것을 말합니다'
비정형유관증식증을 검색하면 '유방조직의 유관내부에서 비정형 세포들이 과도하게 증식하는 병변으로 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단계로 간주한다'
라고 나오던데 그럼 조직검사에서 비정형세포가 나오면 경계성종양에 포함되는거 아닌가요?
둘이 다른 거라면 어떻게 다른지 너무너무 궁금합니다.
비정형 유관 증식증은 경계성 종양에 포함되나요?
유방증식증(ductal hyperplasia)이란 유관 내의 상피세포가 증식하는 병변입니다. 이는 세포의 비정형성(비정상적인, atypical)이 있는 것과 그렇지 않는 것으로 나눕니다. 이 중 비정형 유관 증식증은 유방암의 앞 단계로 알려져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비정형 유관 증식증(atypical ductal hyperplasia)으로 진단받으면 병변을 국소 절제한 후 긴밀하게 추적 관찰을 해야 합니다.
유방암 발생 위험도를 비증식성 유방 질환과 비교한다면 비정형성이 없는 증식성 유방 질환은 1.5~2배, 비정형성이 있는 증식성 유방 질환은 4~5배 정도로 위험도가 높습니다.
다니는 병원에서 들으신 것처럼 비정형 유관 증식증은 유방암의 앞 단계이며, 시간이 지나면서 유방암으로 변할 수도 있지만 아직은 암이 아닙니다. 또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의 특성을 모두 지닌 경계성 종양으로 분류하지 않습니다.
이전글 | 갑상선암 관련 질문드립니다! |
---|---|
다음글 | 종양표지자 검사 빈도 |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등록 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