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경부 제자리암에 포함되는 범위가 궁금해요
작성자 | 오샛별 | 작성일 | 2024.12.23 |
---|---|---|---|
구분 | 암 |
중앙암등록본부에서는 행태코드가 /2인 carcinoma in situ를 등록하도록 되어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CIN 2 HSIL 진단 시 제자리암인가요?
CIN 2는 자궁경부 제자리암(D06)으로 진단받을 수 있나요?
자궁경부 표면의 정상상피세포에서 시작하여 미세한 현미경학적인 변화가 발생하는 자궁경부 상피내이형성증(CIN,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을 거쳐, 상피 내에만 암세포가 존재하는 자궁경부상피내암(CIS, cervical intraepithelial in situ)으로 진행하고, 이 단계에서 발견하지 못하여 치료하지 못하면 다시 침윤성 자궁경부암(cervical carcinoma)으로 진행합니다. 보통 자궁경부상피내암을 제자리암으로 명명합니다.
병리검사 결과에서 자궁경부상피내암(CIS) 또는 중증 이형성에 대한 언급이 있거나 없는 자궁경부상피내신생물(CIN) 등급 3인 경우에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질병코딩 지침에 따라 자궁경부 제자리암(질병코드 D06)으로 진단합니다. 또한 자궁경부의 이형성 분류지침에 따라 CIN 등급 2인 경우에는 증등도 자궁경부이형성(질병코드 N87.1)으로 진단됩니다.
중앙암등록본부에서 산출하는 국가암등록통계자료는 암등록지침서를 기준으로 국제종양학질병분류(ICD-O-3, second revision) 코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2021년 암등록지침 변경 및 주요사항 공지에 따라 기존 자궁경부세포검사(PAP smear) 분류시스템을 삭제하고, 국제종양학질병분류(ICD-O-3, second revision)코드에 따라 암등록을 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squamous intraepithelial neoplasia, grade II, 8077/2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grade II (CIN2)*)가 자궁경부상피내암으로 포함되어 통계가 산출되고 있습니다.
*2024 WHO classification of tumors of female reproductive organs p8.
그러나 질병코드 부여와 암등록 코드의 수집과 사용 목적이 다르다는 점을 유념해 주시기 바랍니다. 국가암등록통계자료는 국가암통계를 산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집하는 자료이며, 질병분류나 질병코드 부여와는 다릅니다.
이전글 | HSIL(고등급 상피세포 병변) 은 제자리암으로 볼 수 없는건가요? |
---|---|
다음글 | 고등급평편상피내병변(HSIL)은 제자리암에 해당되나요? |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등록 된 댓글이 없습니다.